곡물 종류에 따른 분류
스카치 위스키 협회에서 분류하는 위스키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5개로 분류됩니다.
1. 싱글 몰트 위스키(Single malt whisky)
다른 곡물은 섞지 않고 맥아(보리)를 원료로 하여 단식 증류기로 만든 위스키 입니다. 단일 증류소에서 증류하며 보통은 스코틀랜드에서 많이 생산되기 때문에 스카치 싱글몰트 위스키가 주를 이루지만 스코틀랜드지역에서 만들어지지 않았더라도 맥아를 사용하여 단일 증류소에서 만들면 싱글 몰트 위스키라고 합니다.
2. 블렌디드 몰트(Blended Malt Whisky)
싱글 몰트 위스키만을 블렌딩한 위스키를 블렌디드 몰트 위스키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인 블렌디드 위스키는 그레인 위스키가 들어가는 반면 블렌디드 몰트 위스키는 그레인 위스키가 전혀 들어가지 않습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조니워커 그린라벨, 몽키 숄더가 있습니다.
3. 싱글 그레인 위스키(Single Grain Whisky)
한 증류소에서 나온 맥아 외 밀, 호밀, 옥수수 등의 곡물 원료를 사용하여 만든 위스키를 말합니다. 예전 스코틀랜드에서 맥아세를 인상하자 맥아를 적게 쓰기 위해 다른 곡물로 위스키를 만들게 되었는데 이것이 그레인 위스키의 시초라고 합니니다. 보통 그레인 위스키의 맛은 가볍고 부드러운 편이라 그레인 위스키로만 만든 상품은 별로 없으며 몰트 위스키에 섞어 블렌디드 위스키를 만드는 데 많이 사용됩니다. 상품화된 싱글 그레인 위스키로는 헤이그 클럽이 있습니다.
4. 블렌디드 그레인 위스키(Blended Grain Whisky)
맥아 외 곡물 원료의 위스키만 섞은 것으로 싱글 그레인 위스키를 섞은 위스키를 말합니다. 보통은 싱글 몰트와 그레인 위스키를 섞지 그레인 위스키끼리 섞은 위스키는 시중에 잘 유통되고 있지 않습니다. 저는 그만큼 개성이 없는 위스키라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게 하지 않는 다는 뜻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5. 블렌디드 위스키(Blended Whisky)
몰트 위스키와 그레인 위스키를 적절하게 섞어 만든 위스키 입니다. 블렌디드 위스키라고 해도 위스키마다 개성을 돋보이게 하는 주요 싱글몰트 위스키를 키몰트(Key malt)위스키라고 하는데 조니워커는 탈리스커, 발렌타인은 글렌버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생산지에 따른 분류
1. 스카치 위스키(Scotch Whisky)
스코틀랜드 위스키를 스카치 위스키라고 불립니다. 스코틀랜드 지역은 크게 스페이사이드, 하이랜드, 로우랜드, 아일라 지역으로 나뉘게 되는데요, 스코틀랜드 지역을 위아래 반으로 나눠서 위쪽은 하이랜드, 아래쪽은 로우랜드로 나뉩니다. 하이랜드 지역에서는 글렌드로낙, 글렌모린지, 글렌고인, 달모어 등이 생산되고 로우랜드에서는 글렌킨치, 블라드녹 등이 생산됩니다. 그 중 하이랜드 지역에서 위스키 증류소가 많고 품질도 좋게 생산되는 지역을 스페이사이드로 구분했는데 여기서는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글렌그란트, 더 글렌리벳, 글렌버기, 글렌파클라스, 글렌피딕, 맥켈란, 발베니 등이 생산됩니다. 서쪽 섬인 아일라 지방에서는 라가불린, 라프로익, 보모어, 아드벡 등의 위스키가 생산됩니다.
* 스카치 위스키 협회(SWA, Scotch Whisky Association)에서 규정을 만들어 관리하고 있어 사실상 싱글몰트에 대한 규정이 스카치 위스키의 아이덴티티를 만들어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2. 아메리칸 위스키(American Whisky)
미국에서 생산되는 위스키이며 대표적으로는 버번 위스키와 테네시 위스키가 있습니다. 스코틀랜드에서 아메리카 신대륙으로 뻗어나가는 중에 아메리카 대륙에서 위스키를 만들어 먹은 게 아메리칸 위스키의 시작입니다. 미국 대륙은 보리보다는 옥수수와 밀이 구하기 쉬워서 옥수수와 밀을 주 원료로 만든 것이 특징입니다.
버번 위스키는 미국 켄터키 주에서 만든 위스키이고 버번 위스키를 만드는 규정이 따로 있을 만큼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습니다. 버번 위스키는 미국에서 생산해야하고 옥수수가 51% 이상 함유되어야 하며 매번 새 오크통을 사용해 숙성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위스키 증류 후 병입을 할 때 보리의 황금빛 색이 나오지 않으면 카라멜 색소 등을 첨가할 때도 있는데, 버번 위스키는 어떠한 첨가물도 넣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표적인 버번 위스키로는 와일드 터키, 버팔로 트레이스, 메이커스 마크, 짐빔이 있습니다.
테네시 위스키는 미국 테네시주에서 만든 위스키이며 옥수수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버번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기본적인 베이스는 버번 위스키와 같으나 단풍나무 숯 여과과정을 거쳐 달달하고 진한 색상의 위스키가 탄생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는 잭 다니엘스 위스키가 있습니다.
그 밖에 미국은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보리보다는 옥수수와 밀로 만든 위스키가 유명한데요, 버번위스키는 옥수수를 주 성분으로 만든 반면 라이 위스키는 호밀이 51% 이상 함유된 위스키 입니다.
3. 아이리쉬 위스키 (Irish whisky)
아일랜드에서 만들어지는 위스키이며 스카치 위스키의 영향을 받아 몰트, 그레인, 블렌디드 등으로 생산됩니다. 전통적인 아이리쉬 위스키는 피트를 사용하지 않고 맥아를 건조시켜 3회 증류하는 기법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스카치 위스키에 비해 달콤하고 부드럽고 상큼한 맛이 도드라집니다. 커피와도 잘 어울려 아이리쉬 위스키로 만든 아이리쉬 커피가 유명합니다. 아이리쉬 커피는 뜨거운 커피에 아이리쉬 위스키 30ml를 넣고 설탕과 생크림을 올려 먹는 게 특징입니다. 아이리쉬 위스키는 제임슨, 부쉬밀, 틸링, 더 아이리시맨 등이 있습니다.
4. 재패니즈 위스키
양조장 집안에서 자란 타케츠루 마사타카가 스코틀랜드에 유학을 다녀오면서 토리 신지로와 함께 야마자키 증류소를 세웠는데 이 증류소가 산토리 위스키의 시작이며 최초의 일본 위스키 회사가 탄생하게 된 일화입니다. 그러다가 토리 신지로는 대중적인 위스키를 원했고 타케츠루 마사타카는 정통 스카치 스타일을 원하는 의견차로 타케츠루 마사타카는 요이치 증류소를 세우면서 산토리와 닛카 회사로 분리됩니다.
산토리는 야마자키, 하쿠슈라는 싱글몰트와 우리가 흔히 산토리 위스키라고 알고 있는 가쿠빈 블랜디드 위스키가 유명하며 닛카는 요이치, 미야기쿄 싱글몰트가 유명합니다.
'위스키 > 위스키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 위스키(Rye Whiskey)란 (0) | 2023.03.31 |
---|---|
스코틀랜드 피트 위스키에 대하여(Peat Whisky) (0) | 2023.03.24 |
오크통 크기에 따른 위스키의 맛의 특징 (0) | 2023.03.15 |
위스키 숙성에 사용되는 오크통 종류 (0) | 2023.03.07 |
미국 버번 위스키(Bourbon Whiskey)종류, 규정, 유래 (0) | 2022.03.01 |